큐비트럭 cubietruck - micro sdhc 카드에서 부팅하도록 만들기
http://docs.cubieboard.org/tutorials/ct1/installation/install_lubuntu_desktop_server_to_sd_card
http://www.youtube.com/watch?v=jtaymCjcEEo
여기 두 곳을 참고했어요~.
큐비트럭을 micro sdhc에서 부팅하게 하려면, 리눅스를 알아야 되겠더군요.
그동안 리눅스를 염탐했던 것도 이것을 해볼까하는 마음에서였죠~.
리눅스를 모르니, 위의 링크에 있는 글을 봐도 동영상을 봐도 뭔 소리인지 하나도 모르겠더군요. 다 외계어일뿐.....ㅡ.ㅜ
이제 조금 알 것 같아서 시도해 봤습니다~.
micro sdhc 카드에서 부팅하게 만드려면,
리눅스 환경이어야 하고, micro sdhc 카드가 최소한 2GB 이상이어야 한다고 하네요.
리눅스 민트 16 mate를 사용하고 있어요.
댓글로 질문하셔서, 이미지 첨부해요.
좀 오래된 노트북 FE 38LP에 리눅스 민트 16mate를 설치했답니다.
리눅스 설치해 놓고, 터미널(Terminal)창을 띄운 다음에 작업하면 되요~!^^
micro sdhc 카드 1개를 준비하고..
저는 micro sdhc 32g mlc 예전에 구입해 놓은 것이 있어서, 이것으로 했어요.mlc가 속도도 더 빠르다던가...
micro sdhc 카드를 카드 리더기에 넣고, 컴의 usb 포트에 꽂습니다.
리눅스 민트에서 터미널 창을 열고 mount 를 입력하죠.
다음에
dev/sdb on/media/사용자이름~~ 이렇게 나오면, sudo umount /dev/sdb 이렇게 입력해야 하네요.
sdb1이 micro sdhc 카드인 듯 해요.
/dev/sda1 on / type ext4 (rw,errors=remount-ro)
/dev/sdb1 on /media/magic1/7E1E-271F type vfat
http://docs.cubieboard.org/tutorials/ct1/installation/install_lubuntu_desktop_server_to_sd_card
여기에서 3가지 파일을 다운 받아요~.
cat /proc/partitions
card=/dev/sdb
sudo dd if=/dev/zero of=${card} bs=1024 seek=544 count=128
입력합니다.
Make Bootable SD Card
제가 3가지 파일을 다운로드 폴더에 다운받았기에, cd 다운로드를 입력했어요.
cd 다운로드
ls
입력하면 다운로드 받은 파일이름이 보이죠. u-boot-sunxi-with-spl-ct-20131102.bin
ls를 입력하면, 다운로드 폴더에 있는 파일 이름이 보이네요.
sudo dd if=u-boot-sunxi-with-spl-ct-20131102.bin of=$card bs=1024 seek=8 을 입력해요~.
sudo fdisk $card 를 입력합니다. 도움말을 보려면, m을 입력하라고 해서 한번 해봤어요.
도움말 필요없으면, 바로 p 입력하면 되네요.
추가) micro sdhc 가 파티션이 보이면, command ( m for help) : 다음에 d 를 입력하고, 엔터를 칩니다.
partition number 에 1 입력하면 해당 파티션이 삭제되요. d 입력하면 다음 파티션이 삭제되고....
다음에 n 을 입력합니다~. p하고 , 1
First sector에 그냥 엔터를 치고,
(first sector가 2048로 시작하게 되어 있어서 엔터치나봐요.)
큐비트럭 홈페이지에 있는 아래의 이미지를 참고해서,
Last sector ,~~ 여기에 133119를 입력하고,
그 다음에는 p 입력하고 n 입력하고, 2 를 입력해요.
first sector 에 133120을 입력하고, last sector는 그냥 엔터를 칩니다.
엔터를 치면 기본값이 사용되어지네요.
p를 입력하니, sdhc 카드가 linux 파티션 2개로 나눠진 것이 보이네요.
처음 시도할때, 2번째의 umount를 생략했더니, miro sdhc카드가 fat32로 되어 있더군요.
그래서, 다시 처음 mount부터 차례로 시작했더니,다음에는 리눅스 system으로 제대로 되더군요.
w를 입력합니다.
sudo mkfs.ext2 ${card}1 입력하고,
sudo mkfs.ext4 ${card}2 를 입력해줘요.
$mkdir /tmp/sdd1 /tmp/sdd2 $sudo mount -t ext2 ${card}1 /tmp/sdd1 $sudo mount -t ext4 ${card}2 /tmp/sdd2 $sudo tar -C /tmp/sdd1 -xvf bootfs-part1.tar.gz $sudo tar -C /tmp/sdd2 -xvf rootfs-part2.tar.gz $sync $sudo umount /tmp/sdd1 $sudo umount /tmp/sdd2
저 위에 있는 것을 차례로 입력하면 된답니다.
sudo tar -C /tmp/sdd2 -xvf rootfs-part2.tar.gz 를 입력하면,이렇게 주르륵~~~나온답니다.시간이 좀 걸려요~. 꽤 몇 분을 주르륵~~~.
이제 드디어 micro sdhc 32GB에서 부팅하도록 만들어지는 것 성공했습니다~.
micro sdhc카드를 꺼내서 큐비트럭에 넣어주면 되네요.
부팅에 사용될 카드라면 , 32GB의 용량을 사용하기는 아깝더군요.
그래서, micro sdhc 4GB에 부팅 파일을 만들어 봤습니다.
이것은 시작 섹터가 2048이 아니고, 0 이었던가...
그래서, 입력하는데 중간 정도쯤에 에러가 나서 부팅파일 만들기 완성이 안되더군요.
에러 메시지를 검색해봐도 해결책을 잘 모르겠더군요.
포맷이나 하자 이런 생각에......
micro sdhc카드를 윈도우에서 포맷을 했습니다~.
빠른 포맷을 누르기 전에, 할당 단위 크기를 2048로 선택하면 어떨까 싶어서
이것을 선택하니... start sector가 2048로 되어서 에러없이 잘 설치가 되네요.
그동안 포맷을 하면서, 할당 단위는 언제 사용하는 것인지 몰랐는데,
이렇게 사용하는 것이로군요~~.
드디어, micro sdhc 4GB에 부팅파일 만들기 성공했네요.
다음에 큐비트럭에 micro sdhc 카드를 넣고 실행시켜야겠네요.
어떻게 될런지...
만들어놓고도 이것을 왜 했나 감이 안 온다는 것이 함정...ㅡ.ㅜ
플로피 디스켓에서 부팅하는 것처럼 이것으로 부팅한다는 것인가..
큐비트럭 cubietruck - micro sdhc 카드에서 lubuntu 실행하다~.
http://blog.daum.net/signaltech/7774467
'큐비보드3-큐비트럭'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큐비트럭 (cubietruck) - micro sdhc카드에 lubuntu desktop (v1.03) 설치해서,부팅하다~. (0) | 2014.04.10 |
---|---|
큐비트럭 cubietruck - micro sdhc 카드에서 lubuntu 실행하다~. (0) | 2014.04.10 |
큐비트럭 아크릴의 비닐을 떼어내다. 2.5인치 하드 연결했는데... (0) | 2014.02.04 |
큐비트럭 led색의 의미와 낸드플래쉬 Android 4.2_v1.01로 업그레이드하다~. (0) | 2014.01.08 |
큐비트럭 웹페이지 등 이런저런 사용기와 궁금증 (0) | 2013.12.30 |